산업통상자원부 문승욱 장관은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한국항공우주학회 주관으로 개최된 ?2022년 항공우주인 포럼?행사에(1.14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 초청받아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는 산업부 문승욱 장관과 산·학·연 관계자 약 100명 내외가 참석하여 미래먹거리산업(항공, UAM, 우주 등)의 발전방향 및 해외협력 확대를 위한 연대와 협력을 다짐했다.
또한, 항공·우주산업 관계자들의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격려하고 임인년(任寅年) 새해를 맞아 항공·우주산업의 더 높은 도약을 위해 2022년도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80년대 단순 조립·생산단계에서 현재는 세계 여섯 번째 초음속기(T-50) 수출국, 열한 번째 헬기(수리온) 개발국으로 발전하였으며, 국내생산액의 경우 2000년부터 시작된 연평균 9.5%의 고속성장을 통해 2019년 국내생산액 60억불을 달성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국내생산액은 전년대비 18.7% 줄어들었다. (‘20년 49억불)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항공산업의 시장규모(생산액+수입액)가 전년대비 25.2% 감소하였지만 정부와 기업이 함께 노력하여 2021년 시장규모는 감소세를 멈췄다.
정부는 항공제조업분야를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고 상생협력보증제도를 수립·시행하는 등 항공산업생태계를 지원하였으며 업계들도 항공기여객수요 감소를 항공화물수송으로 극복(대한항공)하고 구조조정보다는 유급휴직, 직업훈련 등을 통해 항공산업의 난관을 헤쳐나갔다.
문승욱 장관은 축사를 통해 우주·항공산업이 자본과 기술의 진입장벽이 높지만 진입에 성공할 경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집약산업으로 선진국들은 우주·항공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음을 밝히며, 대한민국의 세계적인 경제적 수준에 맞게 우주·항공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임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존 항공산업의 세계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부품 분야의 경쟁력 확보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UAM·드론과 같은 신항공산업이 건강한 생태계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 ?우주 산업에서의 민간기업의 역할 확대 등을 정책방향으로 제시했다.
특히 현재 항공·우주산업이 대전환기(항공: UAM의 등장, 우주: 민간주도 등)를 맞이하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새로운 항공·우주 산업에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민·관·학의 혁신적인 노력이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UAM(혹은 Flying Car)에 대한 세계적인 표준·안전 시스템 등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발빠른 움직임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UAM 관련 해외진출, 군 수요 창출, 무인기 개발 등 동시 다발적인 전략추진 필요성을 피력했다.
더불어 고출력 제트기급 첨단엔진 개발은 오랜 시간과 많은 예산이 필요한 사업이지만 우리나라 항공분야를 넘어 기계산업 전 분야로의 파급효과가 큰 만큼 관계부처와 적극 검토하고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민간기업이 우주산업을 주도하는 ?New Space? 시대에 대응하여 우리도 생태계를 강화하고 민간경쟁력이 곧 안보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산·학·연 모두 함께 힘을 모으자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