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포럼이 왜 다보스포럼인 줄 암?
다 ‘보스’들만 와서 ㅎㅎㅎ
경기도 보스, 잘하고 돌아갈게요~”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김동연 경기도 지사가 지난 1월18일, 청년층이 애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스레드(Threads·인스타그램의 텍스트 기반 대화 앱)’에 올린 글입니다. 게시물에는 좋아요 2,700, 댓글 284개가 달렸습니다.
“어린이집 밥이 맛없다는 민원을 받았어”(지난 7월10일)
김동연 지사가 허리를 굽혀 어린이집에 다니는 ‘꼬마숙녀’와 악수하는 사진과 함께라고 적은 글에는 ‘좋아요’가 4000, 댓글이 200여 개 달렸습니다.
이처럼 친근한 말투로 활발히 소통 활동을 한 결과 김동연 지사의 ‘스레드’ 계정은 개설한 지 1년 만에 팔로워가 6만 4,000명에 이릅니다.
김동연 지사는 ‘밈잘알 도지사’로도 불립니다. 청년들과 SNS 등에서 유행하는 ‘밈’(짤방 등)으로 적극 소통해서입니다.
그런 김동연 지사가 오늘은 SNS가 아니라 청년들과 직접 만났습니다.
김동연 지사가 만나는 청년들은 경기도 내 30개 대학(아래 붙임 참조)의 총학생회장단 70명입니다. 도내 30개 대학의 ‘청년리더’들을 한자리(판교의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 초청한 것은 도지사 취임 후 처음입니다.
김동연 지사는 당선인 시절 포천 아트밸리 청년랩(lab)에서 만난 청년들에게 "기회의 빈익빈 부익부를 없애겠다"면서 "우리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만들고 싶고, 주어진 기회가 고르게 갔으면 좋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오늘도 김동연 지사는 청년들의 ‘기회 창출’이 도정의 핵심 목표임을 설명하면서 ‘청년들이 가장 살고 싶은 경기도’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을 다짐할 계획입니다.
실제로 김동연 지사는 재임중 청년정책에 공을 들여왔습니다.
그 결과물이 점점 확산되고 있는 [민선 8기 경기청년 기회패키지]입니다.
▴경기청년 사다리프로그램(‘23년 5개 대학 200명-> ’24년 9개 대학 270명)
▴경기청년 갭이어(’23년 600여 명-> ‘24년 800여 명)
▴기회사다리 금융
▴해외취창업 기회 확충
▴해외 봉사단 ‘기회오다’
▴청년 역량강화 기회지원 등
김동연 지사는 아주대 총장 시절부터 청년들과 적극 소통해왔습니다.
당시 김동연 총장의 ‘브라운 백 미팅’(Brown Bag Meeting)’은 소통의 아이콘이었습니다.
브라운백은 햄버거 가게 등에서 먹을 것을 담아 주는 ‘갈색봉지’를 말합니다. 브라운백 미팅은 간단한 점심을 곁들인 자유로운 대화시간을 의미합니다.
김동연 총장은 격주 또는 한 달에 한 번 재학생들과 피자 등을 같이 하며 대화했고, 주요 건의 사항은 학교정책 운영에도 반영됐습니다.
김동연 총장이 경제부총리 내정자로 지명되자 당시 ‘아주대학교 대나무숲’(페이스북 게시판)에 “총장 임기 시작과 동시에 여러 활동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하고 학생들의 뜻을 존중하는 모습이 감동적이었다. 마땅히 보내드려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아쉽다”는 글 등이 올라왔다는 언론보도도 있었습니다.
<붙임: 총학생회장단 참석 대학교 명단>
가천대 가톨릭대(성심) 강남대 경기대 경기과학기술대 경동대 경희대 국립한국교통대 국제대 단국대 대림대 동아방송예술대 동양대 루터대 명지대 신구대 신안산대 신한대 안산대 아주대 연성대 오산대 유한대 중부대 차의과학대 청강문화산업대한국관광대 한세대 한양대ERICA
<현장코멘트 1>
김동연 도지사는 “믿거나 말거나인데 우리 청년들 만날 때가 제일 좋다. 대학 총장을 여러 해 전에 했었는데 여러 가지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우리 청년들, 학생들 만나는 게 너무 좋았다”고 인사를 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에 공식 일정이 3개 있어서 넥타이만 풀었는데, 편하게 재킷을 벗었다. 괜찮죠? (네) 재킷을 벗었다는 건 편하게 얘기 나눴으면, 길게 얘기 나눴으면 해서다. 편하게 대해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청년들에게 이렇게 말하며 정책을 포함한 각종 사회문제에 참여와 관심을 당부했습니다.
“왜 우리 청년들이 정책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 어떻게 보면 당장에 내 일 같지 않을 수도 있는데. 저는 이렇게 접근하고 싶다. (청년들)본인들이 원하는 건 뭘까? 저는 행복해지는 거라고 심플하게 얘기하고 싶다. 행복해지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유감스럽게도 우리 사회가 지금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배경, 입에 물고 태어난 숟가락 색깔, 열심히 노력해도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현실과 사회 시스템, 그런 것들 때문에 청년들이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 그래서 대한민국을, 사회 시스템을, 정책을 여러분이 행복해질 기회가 많아지게끔 바꿔야 한다. 바꾸는 것에는 근본적으로 정치구조, 경제 운영의 틀, 교육시스템도 있다.
여러분 스스로, 여러분의 후세에 이르기까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여러분이 정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목소리를 내셔야 한다. 지금의 체제와 지금의 시스템과 지금의 구조에 순응해서 가게 되면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 간다.
암담한 상황이 계속되는 거죠. 여러분들이 정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치에도 관심 가져야 한다. 사회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오늘 먼저 정책 얘기를 할 기회가 만들어져서 정말 기쁘다.”